아래 내용은 1월24일 한화리서티센터에서 발행한 자산전략 보고서 Life-Coaching에서 일부 내용을 발췌했습니다.
한국주식
4분기 한국 주식은 3분기에 이어 하락했습니다. 이에 실망한 한국의 투자자들은 미국 주식, 비트코인 등으로 투자 대상을 옮겼습니다. 작 년 한해 G20 주요국 주식시장에서 한국의 순위는 14위였습니다. 2014년, 2018년, 2021년과 순위가 같습니다. 한국 주식은 수출, 제조 업, 중간재 중심이어서 글로벌 경기에 민감하고 그래서 순위는 최하 위권과 최상위권을 오갑니다. 2025년이 20일밖에 되지 않았지만 한 국 주식은 1위입니다. 글로벌 경기도 3~4월경 돌아설 것으로 보이기 에 올해엔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미국주식
S&P 500은 12월 6일에 종가 6,090으로 단기 고점을 만들고, 1월 10 일에 5,827까지 4.4% 하락합니다. 장중 저점 5,773 기준으로는 5% 가 넘는 조정이 나타났습니다. 12월에 주변의 모든 사람들이 미국 주 식을 하겠다고 나서니 거짓말처럼 약세에 빠졌습니다. 쏠림과 유행의 무서움을 다시 한 번 절감했습니다. 5% 수준의 조정은 과거 100년 동안 1년에 두 번 꼴로 나타날 정도로 일상적이었습니다. 변동성을 맞추려는 노력을 멈추고 장기 자산 축적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미국 지수 및 우량주에 대한 적립식 투자를 유지해야 합니다.
해외채권
2024년 4분기 글로벌 채권시장은 약세 마감했습니다. 주요국 물가 둔화세가 주춤한 가운데 이로 인한 중앙은행들의 태세 전환, 계속해 서 예상을 웃도는 강력한 미국 경제가 시장의 주요 약세 재료로 작용 했습니다. 미국 연준은 9월에 이어 10, 12월 모두 기준금리를 인하했 지만 앞으로는 신중하게 통화정책을 조정해 나갈 것임을 강조했습니 다. 미국 주요 경제지표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연준의 스탠스 변화를 뒷받침했습니다.
국내채권
해외와 달리 국내 채권시장은 강세를 보였습니다. 이례적으로 빠른 정책 조정에 나선 한국은행과 목표수준을 하회하기 시작한 물가, 커 져가는 경기 우려 등 전반적으로 채권시장 강세 요인들이 부각된 연 말이었습니다. 한국은행은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연속 인하했고, 물가는 연말 환율 급등에도 부진한 내수 영향에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경기 모멘텀은 당초 예상보다 부진한 흐름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장기 구간 금리를 가파르게 하락시켰습니다.
부동산
내수 경기 부진과 예상보다 더딘 유동성 공급 등으로 비수도권 위주 의 가격 하락세가 다시 나타나고 있습니다. KB의 통계에 따르면 강남 구와 서초구는 전고점을 돌파한 반면 전국의 주택 가격은 10월을 정 점으로 다시 내려가고 있습니다. 전세 가격은 상승세로 전환됐고, 월 세는 역사적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지역과 시대 및 영역을 막 론하고 나타나는 양극화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합 니다. 다양한 자산을 통해 재산을 축적했다면,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서 자가 보유가 하나의 솔루션이 될 수 있음을 이번 자 산전략보고서에서 논의했습니다.
벤처
IPO 시장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습니다. 거래소는 상장하고자 하는 기업이 예비심사청구를 하면 45영업일 이내에 심사를 마쳐야 합니다. 작년엔 상장 문턱이 높아져 코스닥 기업들의 심사 기간이 100영업일 을 넘기기도 했었지만, 작년 연말부터는 기한 내 승인을 받는 기업들 이 늘고 있습니다. 공모가도 낮춰서 상장 후 수익률도 바닥에서 돌아 서고 있습니다. 올해 공모주 시장은 작년보다 좋을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4분기에 47.7% 상승했습니다. 3분기까지 전고점을 돌파 하지 못하고 횡보하던 비트코인은 연일 신고가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하고 암호화폐 시장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상승 탄력을 받았습니다. 현물 ETF 발 자금 유 입도 본격화됐습니다. 4분기에 165억 달러의 자금이 들어왔고 전 분 기 대비 280% 늘어났습니다. 암호화폐에 대한 신뢰도가 커지면서 비 트코인이 기존 금융 포트폴리오 내로 편입되기 시작했습니다. 거래소 보유량은 최저치를 갱신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임기가 시작되고 기관 매입이 이어지며 1분기에도 훈풍은 이어질 것입니다.
대기업 집단 시가총액 10위권 순위 변경 (12) | 2025.01.31 |
---|---|
중국 딥시크(DeepSeek)가 미국 실리콘밸리를 흔들고 있다 (11) | 2025.01.29 |
MAGA 2.0과 미국 경제의 새로운 도전 (14) | 2025.01.27 |
가정과 산업에서 일어날 AI 혁신 (13) | 2025.01.26 |
트럼프 그린뉴딜 종료로 전기차 의무화 폐지 (15)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