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무선 통신사 6년간의 점유율 경쟁과 변화

머니 스토리

by 인앤건LOVE 2025. 2. 20. 16:10

본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매달 전전월의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 및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 자료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기준으로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2018년 12월부터 지난 6년간 이동통신 회선 점유율 변동 내역과 초고속 인터넷 회선 점유율 변경 내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동통신 회선 점유율

통신3사와 알뜰폰을 합한 이동통신 휴대폰 회선은 작년 10월 5696만5545 회선, 11월 5695만7096 회선, 12월 5687만8363 회선으로 지난해 4분기 내내 꾸준히 내리막을 걸었으며, 전체 통신 회선이 3개월 내내 감소폭을 그린 건 이례적인 상황입니다.

지난 6년간의 변화를 살펴보면,

  • SK텔레콤 4.37%에서 40.6%로 2.2% 하락
  • KT는 25.1%에서 23.5%로 1.6% 하락
  • LGU+는 19.3%에서 19.2%로 0.1% 하락
  • 반면에 알뜰폰은 12.8%에서 16.7%로 3.9% 상승

주요 관심 사항은 ①SK텔레콤이 40%를 유지할 수 있을지 ②올해 7월 보조금 상한제가 폐지되면 통신사들이 어떤 전략을 펼치지 ③ 알뜰폰 사업자는 가입자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가 궁금해집니다.

초고속 인터넷 회선 점유율

지난 6년간의 변화를 살펴보면,

  • 2024년 12월 초고속인터넷 회선 수는 2472만1782개로 2018년 같은 기간(2115만4708개) 대비 16.9%(357만 개) 증가
  • KT는 41.3%에서 40.3%로 1.0% 하락
  • SKB(SK텔레콤 재판매 포함)는 24.9%에서 28.9%로 4.0% 상승
  • LGU+는 19.0%에서 21.7%로 2.7% 상승
  • 반면에 종합유선선은 14.7%에서 9.1%로 5.6% 하락

주요 관심 사항은 ①SK텔레콤의 이동통신 40%와 마찬가지로 KT가 40%를 유지할 수 있을지 ②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증가세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을지가궁금해집니다.

이 외에도 무선 트래픽 통계 자료 등 세부 자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홈페이지 내 통계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