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의 2024년 실적 리뷰

머니 스토리

by 인앤건LOVE 2025. 2. 19. 16:10

본문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두 한국 바이오 기업의 2024년 경영실적을 비교 분석해보겠습니다. 두 회사 모두 2024년에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세부적인 성과와 전략에서는 차이를 보였습니다.

매출 실적 비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4년 연결기준 연간 매출 4조 5,473억원을 기록하며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4조 클럽'에 진입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23%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입니다. 특히 4분기에는 1조 2,564억원의 매출을 올려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출처 : 네이버증권, 삼성바이오로직스 실적 자료

한편 셀트리온은 2024년 연간 매출이 3조 8,026억원으로 추정되며, 이는 전년 대비 74.7% 증가한 수치입니다. 셀트리온 역시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였지만, 절대적인 매출 규모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다소 뒤처졌습니다. 다만 셀트리온의 성장률이 더 높았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영업이익 분석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024년 연간 영업이익은 1조 3,201억원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약 29%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출처 : 네이버증권, 셀트리온온 실적 자료

셀트리온의 경우 2024년 영업이익은 8,140억원으로 추정되며, 전년도 적자에서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약 21.4%로 예상되어, 삼성바이오로직스보다는 낮지만 상당한 개선을 이뤘습니다.

사업 부문별 성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에서 강세를 보였습니다. 4공장의 매출 기여도가 증가하고 1~3공장이 풀가동되면서 안정적인 성장을 이뤘습니다[2]. 별도 기준으로 매출 3조 4,971억원, 영업이익 1조 3,21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도 좋은 성과를 거뒀습니다.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로 매출 1조 5,377억원, 영업이익 4,35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51%, 112% 증가했습니다.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사업에서 큰 성장을 이뤘습니다. 2024년 2분기 기준으로 바이오시밀러 매출이 7,74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03.6% 성장했습니다. 특히 '짐펜트라'의 미국 시장 진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반기 실적 개선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출처 : 네이버증권, 2024.09분기 기준

글로벌 시장 전략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 사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협력을 강화했습니다. 2024년 초에는 약 2조원 규모의 역대 최대 수주 계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굳건히 했습니다.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 주력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짐펜트라'가 3대 PBM(처방약급여관리업체)과 모두 계약을 체결하며 시장 진입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향후 미국 시장에서의 매출 증대를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래 전망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5년 매출 전망치를 5조 5,705억원으로 제시하며, 20~25%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CDMO 사업의 안정적 확장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성장을 통해 지속적인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셀트리온은 2025년에 더욱 가파른 성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에서의 '짐펜트라' 판매 확대, 신규 바이오시밀러 제품 출시 등을 통해 매출 4조 6,390억원, 영업이익 1조 1,11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모두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 사업의 안정적 성장을 바탕으로 업계 최초로 4조원대 매출을 달성했고,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급격한 성장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두 기업 모두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어, 향후 한국 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