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뉴스심리지수, 경제 뉴스를 통해 체감 경기를 진단

머니 스토리

by 인앤건LOVE 2025. 1. 11. 16:10

본문

 

오늘은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뉴스심리지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뉴스심리리지수(NSI) 개요

 

뉴스심리지수는 경제 관련 뉴스 기사의 내용을 분석하여 경제 주체들의 심리를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한국은행이 2022년 4월부터 시험적으로 공개하기 시작했으며,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경제분야 뉴스기사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일별 10,000개의 표본문장 을 추출해 긍정, 부정, 중립으로 분류하는 방식으로 작성됩니다.

한국은행 사옥

 

뉴스심리지수 통계 설명 (한국은행)

 

 
담당기관/부서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통계기획팀 통계연구반
통계명
뉴스심리지수
통계종류
실험적 통계
조사(작성)목적
뉴스기사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제심리의 변화를 월별 경제심리지표 공표 이전에 신속하게 파악하여 경제동향 모니터링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통계개념정의
  • 실험적 통계: 새로운 유형의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여 실험적으로 작성하는 통계로, 작성 이후 신뢰성 및 타당성의 확인점검이 필요한 통계
  • 표준화: 뉴스심리지수가 속보성 지표로서 방향성에 대한 정보가 중요하여 과거 평균치를 기준으로 표준화하며, 표준화 구간의 시작시점은 2005년으로 고정하되 마지막 시점은 지수의 현실반영도를 높이기 위해 매년 초에 전년말까지 연장하여 과거 시계열을 수정
  •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컴퓨터 알고리즘(기계)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패턴을 찾아내는(학습하는) 통계적 방법론을 총칭
  • 감성분석(sentiment analysis): 텍스트에 나타나는 감성을 긍정, 부정, 중립 등으로 분류하는 연구분야로 다양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기계학습 방법론이 활용됨
통계모집단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경제분야 뉴스기사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일별 10,000개의 표본문장
시간포괄성
2020년부터 현재까지(2022.1월 통계청 확인)

 

최근 경제동향 및 뉴스심리지수 추이

 

  • 2024년 7월 첫 주 뉴스심리지수는 118.14를 기록해 2021년 6월 이후 3년 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음을 시사합니다.
  • 그러나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경제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정치 상황으로 인해 경제 심리가 악화되고 있습니다.
  • 2024년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88.4로, 1개월 만에 12.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는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보다 더 큰 폭의 하락입니다.
한국은행 뉴스심리지수 챠트,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지수 변동

 

한국은행 뉴스심리지수 챠트, 비상계엄 이후 지수 변동

 

뉴스심리지수의 특징 및 활용

 

  1. 선행성: 뉴스심리지수는 기존의 경제심리지표보다 1-2개월 먼저 움직이는 선행성을 보입니다.
  2. 상관관계: 소비자심리지수, 경제심리지수 등 기존 심리지표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3. 실시간 반영: 경제 상황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어, 기존 통계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습니다.
  4. 보조지표로 활용: 뉴스심리지수는 기존 심리지표를 대체하기보다는 보조적 지표로 활용되는 것이 권장됩니다.

 

뉴스심리지수는 경제 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국내 정치 상황으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 증대로 경제 심리가 악화되고 있어, 향후 경제 동향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