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너도나도 딥시크(DeepSeek) 금지령

카테고리 없음

by 인앤건LOVE 2025. 2. 9. 12:10

본문

오늘은 최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중국의 인공지능 서비스 '딥시크(DeepSeek)'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확산되고 있는 '딥시크 금지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딥시크, 무엇이 문제일까?

딥시크는 중국의 신생 AI 기업이 개발한 생성형 AI 서비스로, 최근 그 성능과 저렴한 비용으로 주목받았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 문제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따르면, 이 서비스는 사용자로부터 광범위한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기본적인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파일까지 모두 수집 대상이 됩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이렇게 수집된 정보가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된다는 점입니다.

전 세계로 확산되는 '딥시크 금지령'

이러한 우려로 인해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딥시크 사용을 제한하는 조치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의 대응

  • 정부는 2025년 2월 초부터 주요 부처와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기 시작했습니다.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를 시작으로 대다수의 경제·사회 부처가 접속을 차단했거나 차단 방침을 밝혔습니다.
  • 특히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습니다. 이는 생성형 AI 사용 과정에서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기업들의 대응

  • 한국의 주요 IT 기업들도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카카오, 네이버, 라인야후 등이 최근 임직원들에게 딥시크의 업무 목적 사용을 금지한다고 안내했습니다. LG유플러스, 삼성전자 등 대기업들도 사내 공지를 통해 딥시크 사용 금지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해외 국가들의 대응

  • 한국뿐만 아니라 호주, 일본, 대만 등도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이탈리아는 더 나아가 앱 마켓에서 딥시크를 전면 차단했습니다.
  • 미국에서는 해군과 NASA 등 일부 연방기관과 텍사스주가 딥시크 사용을 막았으며, 연방의회에서는 정부 기관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조만간 발의할 예정입니다.

딥시크의 입장과 대응

이러한 전 세계적인 차단 확산에 대해 딥시크 측은 최근 첫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딥시크는 "허위정보와 대중 오도, 위조계정 등에 주의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사례를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

딥시크 금지령의 실효성과 한계

딥시크 금지령이 확산되고 있지만,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앱 사용을 제한하더라도 딥시크의 오픈소스 모델은 여전히 사용 가능하다고 지적합니다.

또한, 일각에서는 딥시크의 보안 문제가 과장되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들은 보다 신중하고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 사용자들을 위한 조언

개인 사용자들도 딥시크 사용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민감한 개인정보나 중요한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가능하다면 로컬 설치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딥시크를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 및 보관 방법 등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발송했으며, 그 결과에 따라 향후 대응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AI 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 보호, 국가 안보 간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 모두가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때입니다.

 

 

728x90